맨위로가기

양부 (십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부(楊溥)는 오대 십국 시대 오나라의 마지막 황제이다. 920년 오왕 양융연의 사망으로 오왕에 즉위하였고, 927년 황제로 즉위했다. 그러나 실권은 서온과 서지고 부자에게 있었고 꼭두각시 황제나 다름없었다. 937년 서지고에게 제위를 선양하고 오나라는 멸망했으며, 양부는 상황제로 지내다 이듬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00년 출생 - 야율배
    요 태조 야율아보기의 장남 야율배는 황태자였으나 동생에게 황위를 빼앗기고 동단국 왕이 되었으며, 이후 후당으로 망명하여 이찬화로 활동하다 암살당했고, 그의 아들 야율완은 요 세종으로 즉위 후 그를 양국황제로 추존했다.
  • 938년 사망 - 끼에우꽁띠엔
    끼에우 꽁띠엔은 10세기 전반 베트남 권력 투쟁기에 즈엉 딩 응에를 살해하고 절도사의 자리를 찬탈했으나 응오 꾸옌에게 패배하여 처형당한 인물로, 그의 행위는 찬탈자로 비판받으며 이후 손자들이 12사군 반란의 주요 세력이 되는 계기가 되었다.
  • 오대 십국 시대의 추존황제 - 왕심지
    왕심지는 당나라 말기 혼란을 피해 복건으로 이주하여 세력을 키운 후 위무군절도사를 계승하고 낭야왕, 민왕에 봉해졌으며 검소한 정책과 세금 감면을 통해 민생 안정에 힘쓴 민나라의 초대 왕이다.
  • 오대 십국 시대의 추존황제 - 양행밀
    당나라 말기 군벌 양행밀은 도둑에서 시작해 회남절도사가 되어 장강 중류 지역을 장악하고 오나라를 건국했으며, 당나라 신하로서의 입장을 지키며 당나라 연호를 사용했다.
양부 (십국)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오 예제
한자 표기吳 睿帝
통치 정보
작위양오의 황제
재위 기간927년 ~ 937년
작위 (왕)양오의 제4대 왕
재위 기간 (왕)920년 ~ 927년
전임자 (왕)경왕(景王)
인물 정보
양부(楊溥)
별호양포(楊浦)
시호예황제(睿皇帝)
존호고상사현홍고양황제(高尚思玄弘古讓皇帝)
능호평릉(平陵)
출생당 광화(光化) 3년(900년)
사망남당 승원(昇元) 2년 12월 28일 (939년 1월 21일)
가족 정보
부친무제(武帝) 양행밀(楊行密)
모친정목황후(貞穆皇后) 왕씨(王氏)
황후황후(皇后) 왕씨(王氏)
기타 정보
연호무의(武義) 920년 ~ 921년
순의(順義) 921년 ~ 927년
건정(乾貞) 927년 ~ 929년
대화(大和) 929년 ~ 935년
천조(天祚) 935년 ~ 937년
생애
이름양푸 (楊溥)
시호예황제 (睿皇帝)
재위 기간920년 ~ 937년
아버지양싱미 (楊行密)
통치
연호우이 (武義, 921년 ~ 922년, 양룽옌에게 물려받음)
순이 (順義, 921년 ~ 927년)
첸전 (乾貞, 927년 ~ 929년)
다허 (大和, 929년 ~ 935년)
톈쭤 (天祚, 935년 ~ 937년)
추증된 칭호가오샹 시쉬안 훙구 랑 황제 (高尚思玄弘古讓皇帝)
시호예황제 (睿皇帝, "지혜로운")
매장지
위치평릉 (平陵, 현대의 이정, 장쑤성에 위치)
출생 및 사망
출생일900년
사망일939년 1월 21일 (38-39세)

2. 생애

양부(楊溥)는 900년 당 소종 치세에 양행밀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양행밀의 첩 왕 부인이었다.[7] 양융연이 오왕으로 있던 시절 양부는 단양공(丹陽公)에 봉해졌다.[8]

920년 양융연이 사망하면서 양부는 서온에 의해 오왕으로 추대되었고, 927년 황제로 즉위하였다.[5] 그러나 오나라는 모든 실권을 서온과 서지고 부자가 쥐고 있었고, 양부는 허수아비 황제였다.

2. 1. 왕위 계승 및 즉위 (920년 ~ 927년)

920년, 오왕(吳王) 양융연이 사망하면서 양부(楊溥)는 서온에 의해 오왕으로 추대되었다.[5] 고조(高祖)이 오의 국왕이 되었을 때 양부는 단양군공(丹陽郡公)에 봉해졌다. 그러나 이때의 오는 모든 실권을 서온, 서지고 부자가 쥐고 있었고, 고조와 양부는 실제로는 꼭두각시 왕이었다.[5]

921년, 양보는 서온의 권유로 정식으로 천지(天地)에 제사를 지냈는데, 이는 그가 천명을 주장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다른 관리들은 서온에게 당나라 시대에 천지에 제사 지내는 비용이 막대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제지하려 했지만, 서원은 당나라의 의례가 지나치게 낭비적이며, 적절한 의례는 당나라가 지출한 것과 같은 막대한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수행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6]

923년, 오의 명목상 동맹국인 후당의 황제 장종(이존욱)은 공동의 적 후량과의 전쟁에서 전략적으로 중요한 윈저우(鄆州, 현대 타이안 산둥)를 점령했고, 직접 양보에게 서신을 보내 두 국가가 공동으로 후량을 공격할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이때쯤 오는 후당을 위협으로 여기기 시작했고, 서원은 북쪽으로 함대를 보내 어느 쪽이 승리하든 지원하는 것을 고려했다. 관료 옌커추는 만약 후량이 지원을 요청하면 입장을 취하지 않을 명분이 없다고 지적했고, 서원은 함대를 출동시키지 않았다.[9]

그해 말, 장종은 기습 공격으로 후량의 수도 다량을 점령했다. 후량의 황제 주유전은 도시가 함락되기 전에 자살했고, 후량은 멸망했으며 후당은 후량의 영토를 차지했다. 서원은 후당 황제가 다음에 무엇을 할지 두려워하며 함대 파견을 막은 책임을 옌에게 돌렸지만, 옌은 장종이 승리에 도취되어 국정을 제대로 다스리지 못하고 몇 년 안에 그의 국가가 혼란에 빠질 것이라고 예측하며 지적했다. 한편, 후당의 우에 대한 사신은 처음 장종의 ''칙서''를 전달했지만, 우는 스스로를 후당의 신하로 여기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받아들이기를 거부했다. 장종은 자신의 의사 전달 방식을 ''서신''으로 수정하여(두 국가 간의 동등성을 보여주며) "대당 황제의 우 군주에게"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약간의 우위를 드러냈다. 양보는 서신으로 응답하여(동등성을 보여주면서) "대오의 군주가 대당 황제에게 보내는 존경하는 서신"이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존경심을 표했다. 얼마 후, 그는 관료 루핑(盧蘋|노평중국어)을 후당에 사신으로 보냈다. 루의 귀환 후 그는 옌의 관찰을 확인했다. 즉, 장종은 순행과 오락에 시간을 낭비하고 돈을 아껴 병사들에게 분배하려 하지 않아 불만을 야기했다.[9]

서원이 우 정부를 확고하게 장악하고 있는 동안, 924년에 양보는 어느 정도의 주권을 보여줄 수 있었다. 당시, 그는 바이샤(白沙, 현대 양저우) 항구에 가서 함대를 사열했고, 바이샤의 이름을 잉루안 기지(迎鑾, "황제의 행렬을 환영하는 기지")로 변경했다. 그 당시 진링에 주둔하며 서즈가오를 장두에 두고 그의 대리로서 정부를 감독하던 서원은 그에게 경의를 표하러 왔고, 양보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서원의 측근 자이첸(翟虔)에 대해 불만을 토로했다. 서원은 그를 궁궐 통제에 배치했고, 자이는 국왕의 행동을 많이 제한하고 국왕의 움직임을 감시했기 때문이다. 양보는 자이의 아버지 이름이 자이위(翟瑜)였기 때문에 비를 가리키는 단어(雨, ''yu'')를 "물"(水, ''shui'')로 의도적으로 언급함으로써 불만을 시작했다. 양보는 자신이 국왕임에도 자이에게 너무나 압도당하여 자이의 아버지에 대한 (naming taboo)를 지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원은 양보의 불만을 깨닫고 절을 하며 자이를 죽일 것을 제안했지만, 양보는 그것은 불필요하며 유배면 충분하다고 말했다. 그래서 서원은 자이를 푸저우(撫州, 현대 푸저우, 장시)로 유배 보냈다.[10]

925년, 우의 남동쪽 이웃 오월의 왕 전류는 (형식적으로 후당의 신하) 우에 사신을 보내 장종이 그를 오월의 왕으로 임명했다는 것을 알렸다. 우는 오월이 "우"라는 이름을 포함한 칭호를 받아들이면서 자체 영토를 노리고 있다는 이유로 사신 접견을 거부하고, 오월과의 외교 및 무역 관계를 더욱 단절했다.[11]

926년, 장종은 후당의 수도 뤄양에서 반란으로 사망했다. 그의 양자 이사원은 또 다른 반란을 일으켜 얼마 지나지 않아 뤄양에 도착하여 자신을 황제로 선포(명종으로 즉위)하여 그를 계승했다. 양보는 그에게 친선 관계를 맺기 위해 사신을 보내고(신선한 차 잎을 조공으로 바침), 내부적으로 장종을 위한 애도 기간을 선포했다.[12]

927년, 양부는 오왕에서 황제로 칭제하였다.[5]

같은 해, 시니어 장군 차이자이용(柴再用|채재용중국어)이 황제에게 경의를 표하러 왔지만 갑옷을 입고 있었는데, 이는 부적절한 행동이었고, 황제의 감찰관에 의해 기소되었다. 그러나 차이는 자신의 전장에서의 공적을 언급하며 처벌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했다. 그러나 서즈가오는 의도적으로 "우연히" 궁궐에 침입한 다음 즉시 물러나 이 침입에 대한 처벌을 요청하는 청원을 제출함으로써 규율을 회복하려 했다. 양보는 처벌을 거부하는 칙령을 발표했지만, 서즈가오는 한 달 치 봉급을 삭감하는 처벌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움직임은 우 관료들 사이의 규율을 회복했다고 한다.[13]

한편, 세월이 흐르면서 서원의 친아들 쉬즈쉰은 서원에게 서즈가오를 우 정부의 감독관으로 대체하도록 계속 설득했고, 서원의 측근인 옌과 쉬지에도 같은 주장을 했지만, 서원은 서즈가오가 효심이 깊고 신중하며, 그의 첩인 천부인도 서즈가오가 서원의 낮은 지위에 있었을 때부터 아들이었고, 지금 버려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기 때문에 망설였다. 그러나 927년 말에 그는 그렇게 하기로 결심했고, 양보에게 황제를 선포하도록 설득하기 위해 진링에서 장두로 가려 했고, 그런 다음 그 기회를 이용하여 쉬즈쉰과 쉬즈가오를 모두 재배치하려 했다. 그러나 진링을 출발하려 할 때 병이 나서 대신 쉬즈쉰을 보냈다. 쉬즈가오는 이 소식을 듣고 사임하고 전남 절도사(鎮南, 현대 난창, 장시)의 군사 지사 직책을 요청하려 했지만, 쉬즈쉰이 가는 동안 서원이 사망했다. 쉬즈쉰은 아버지의 사후 처리를 위해 급히 진링으로 돌아왔고, 쉬즈가오는 섭정으로 남았다. 양보는 서원을 기왕으로 추존했다.[5]

얼마 후, 서원의 유언에 따라 양보는 스스로 황제를 선포했다. 그는 그의 아버지 양행밀과 형제 양악양융연을 황제로 추존했다. 이 소식을 들은 명종의 참모 안중회는 우에 대한 군사 작전을 옹호했지만, 명종은 거절했다.[5]

2. 2. 꼭두각시 황제 (927년 ~ 937년)

920년, 오왕(吳王) 양융연(楊隆演)이 사망하면서 양부는 오왕으로 즉위하였다. 927년에 오왕에서 황제로 칭제하였다.[5] 그러나 이때의 오는 모든 실권을 서온, 서지고 부자가 쥐고 있었고, 양부(楊溥)는 실제로는 꼭두각시 왕이었다.

921년, 양보는 서온(徐溫)의 권유로 천지(天地)에 제사를 지냈는데, 이는 그가 천명(Mandate of Heaven)을 주장한다는 것을 의미했다.[6] 923년, 우(吳)의 명목상 동맹국인 후당의 황제 장종(莊宗)(이존욱)은 후량과의 전쟁에서 전략적으로 중요한 윈저우(鄆州, 현대 타이안, 산둥)를 점령했고, 양부에게 두 국가가 공동으로 후량을 공격할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이때쯤 우는 후당을 위협으로 여기기 시작했고, 옌커추의 반대로 함대를 출동시키지 않았다.[9] 그해 말, 장종은 기습 공격으로 후량의 수도 다량을 점령했고, 후량은 멸망했다. 쉬원은 후당 황제가 다음에 무엇을 할지 두려워했지만, 옌은 장종이 승리에 도취되어 몇 년 안에 혼란에 빠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한편, 후당의 우에 대한 사신은 처음 장종의 ''칙서''를 전달했지만, 우는 스스로를 후당의 신하로 여기지 않아 거부했다. 장종은 의사 전달 방식을 ''서신''으로 수정하여 동등성을 보여주었다.[9]

924년, 양보는 어느 정도의 주권을 보여주었다. 그는 바이샤(白沙, 현대 양저우) 항구에 가서 함대를 사열했고, 바이샤의 이름을 잉루안 기지(迎鑾, "황제의 행렬을 환영하는 기지")로 변경했다. 진링에 주둔하던 서지 রহিম는 양보에게 경의를 표하러 왔고, 양보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쉬원의 측근 자이첸(翟虔)에 대해 불만을 토로했다. 쉬원은 자이를 유배 보냈다.[10]

925년, 우의 남동쪽 이웃 오월의 왕 전류는 우에 사신을 보냈지만, 우는 우웨가 "우"라는 이름을 포함한 칭호를 받아들였다는 이유로 사신 접견을 거부하고, 우웨와의 외교 및 무역 관계를 단절했다.[11]

926년, 장종은 뤄양에서 반란으로 사망했다. 그의 양자 이사원은 황제로 즉위(명종으로 즉위)하여 그를 계승했다. 양보는 그에게 친선 관계를 맺기 위해 사신을 보냈다.[12]

927년, 차이자이용(柴再用)이 황제에게 경의를 표하러 왔지만 갑옷을 입고 있었는데, 이는 부적절한 행동이었다. 그러나 차이는 자신의 공적을 언급하며 처벌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했다. 서지 রহিম는 의도적으로 궁궐에 침입한 다음 물러나 처벌을 요청하는 청원을 제출함으로써 규율을 회복하려 했다. 양보는 처벌을 거부했지만, 서지고는 한 달 치 봉급을 삭감하는 처벌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움직임은 우 관료들 사이의 규율을 회복했다고 한다.[13]

서온이 사망하고 얼마 후, 양보는 스스로 황제를 선포했다. 그는 그의 아버지 양싱미(楊行密)와 형제 양워(楊渥)와 양룽옌(楊隆演)을 황제로 추존했다.[5] 양부는 황위에 오른 후 어머니 왕태후를 황태후로 존경했다. 그는 또한 형제, 아들, 그리고 양룽언의 아들 양빈()을 황족으로 봉했다.[5]

서온이 죽은 후, 그의 직책은 서지고와 서지순에게 분배되었지만, 두 형제는 경쟁 관계에 있었다. 서지고는 강도의 황실 정부를 장악했고, 서지순은 금릉에서 오나라의 가장 큰 군대를 지휘했다. 929년 겨울, 서지고는 서지순을 강도로 유인하여 억류했다. 그는 서지순의 군대 지휘권을 넘겨받아 자신의 손으로 권력을 통합했다.[5]

930년, 양부는 장남 양련을 태자로 책봉했다. 또한 930년, 서지고는 강도를 떠나 금릉에서 방어 임무를 맡았지만, 섭정직을 계속 유지했다. 그의 아들 서경통은 왕령모와 송기구의 보좌를 받아 강도에서 소 섭정으로 활동했다.[14]

933년, 송기구는 오나라의 수도를 강도에서 금릉으로 옮길 것을 주장했다. 이후 서지고는 그곳에 궁궐을 짓기 시작했다. 그는 또한 양부를 금릉으로 맞이할 준비를 하며 자신의 저택을 지었다.[15] 또한 933년, 양부는 그의 아내 왕비를 황후로 책봉했다.[15]

서지고는 스스로 황위에 오르려는 야망을 품고 있었지만, 양부가 덕망 있고 흠이 없다고 여겨졌기에, 처음에는 양부의 치세가 끝난 후에 황위에 오르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주종의 제안으로 서지고는 마음을 바꾸었고, 송기구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934년 양부는 서지고에게 대승상(大丞相), 상부(尙父, "황제의 아버지"), 제왕의 영예를 수여하는 조서를 내렸고, 그에게 구석을 수여할 준비를 했다. 서지고는 이 영예를 거절했다.[16]

그러나 서지고의 즉위 준비는 계속되었다. 935년 겨울, 양부는 다시 서지고에게 상부, 태사(太師), 대승상, 대원수(大元帥), 그리고 제왕의 칭호를 수여하는 조서를 내렸고, 오나라 영토에서 10개의 주를 떼어 제나라 공국을 구성했다. 서지고는 당시 제나라 공작, 태사, 대원수 칭호를 받아들였고, 상부와 대승상 칭호는 거절했다.[16]

936년 겨울, 양부는 공식적으로 서지고의 제나라 공국이 황실 정부가 가질 모든 정부 관직을 유지하도록 허용했고, 금릉을 서경으로 선언했다.[17] 서지고는 937년 봄에 이 조서를 시행했고, 스스로를 서고로 개명했다.[2]

937년 가을, 양맹은 서고가 곧 황위에 오를 것이라고 믿고, 오나라를 구할 마지막 기회를 잡기로 결심했다. 그는 오나라 원로 장군 주분의 영토로 도망갔지만, 주분의 아들 주홍좌(周弘祚)가 주분을 구금하고 양맹을 체포했다. 서고는 양부의 이름으로 양맹을 평민으로 강등시키고 처형을 명령했다.[2]

얼마 지나지 않아 양부는 서고에게 황위를 넘기는 조서를 내렸다. 937년 겨울, 서고는 이를 받아들여 남당을 건국했다 (열조로 즉위).[2]

2. 3. 남당 건국 이후 (937년 ~ 939년)

937년 가을, 양맹은 서고가 곧 황위에 오를 것이라고 믿고, 오나라를 구할 마지막 기회를 잡기로 결심했다. 그는 자신을 지키기 위해 남겨진 근위대 사령관 왕홍(王宏)을 암살한 후, 오나라 원로 장군 주분의 영토로 도망갔다. 주분은 처음에는 양맹을 받아들이려 했지만, 주분의 아들 주홍좌(周弘祚)가 주분을 구금하고 양맹을 체포했다. 서고는 양부의 이름으로 양맹을 평민으로 강등시키고 처형을 명령했다.[2]

얼마 지나지 않아 양부는 서고에게 황위를 넘기는 조서를 내렸다. 937년 겨울, 서고는 이를 받아들여 남당을 건국했다 (열조로 즉위).[2]

통상적인 왕조 교체와 달리, 새 황제가 옛 황제에게 귀족 작위를 수여하는 대신, 새로운 남당 황제는 양위(禪讓)를 받은 후 양부에게 다음과 같은 상소를 올렸다.

양보는 남당 황제가 여전히 자신의 신하라고 주장하는 것을 견딜 수 없다고 판단하여, 이러한 겸손함을 거절하는 답신을 보냈다. 남당 황제는 감사의 뜻을 표하는 또 다른 상소(즉, 여전히 신하의 형식을 유지)를 올렸지만, 신하의 형식을 계속 사용했다.[2]

3. 가족 관계


  • 아버지: 양행밀 (무황제로 추존)
  • 어머니: 왕부인 (양행밀의 후궁, 양부 황제 즉위 후 황태후로 존경받음)
  • 부인: 왕황후 (933년 책봉, 이전 칭호 ''덕비''德妃중국어)
  • 자녀

양부의 자녀
이름설명
양련강도왕 (928년 책봉) → 태자 (930년 책봉) → 남당 시기 홍농공 (938년 책봉, 940년 사망, 홍농 경왕으로 추존)
양린강하왕 (928년 책봉), 이후 남당 시기 강하공
양구의춘왕 (928년 책봉)
이름 미상4세에 사망, 남당 환관 사신에게 살해된 것으로 추정
상요공주서경천(서지고의 아들)의 부인, 연 진장부인으로 추존


  • 형제, 아들, 양륭연의 아들 양빈()은 황족으로 봉해짐.[5]

4. 기타

양부(楊溥)는 927년 쉬원(徐溫)의 유언에 따라 황제에 즉위하여 아버지 양행밀(楊行密)과 형제 양워(楊渥), 양룽옌(楊隆演)을 황제로 추존했다.[5] 이후 937년 쉬고(徐誥)에게 황위를 넘겨주고 남당(南唐)이 건국되면서 오(吳)나라는 멸망했다.[2]

양부의 통치 기간과 관련된 기타 내용은 다음과 같다.


  • 921년, 양부는 쉬원의 권유로 천지(天地)에 제사를 지내며 천명(Mandate of Heaven)을 주장했다. 다른 관리들은 비용 문제를 지적했지만, 쉬원은 당나라의 의례가 낭비적이며 적절한 의례는 더 적은 비용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6]
  • 923년, 오(吳)의 동맹국인 후당(後唐)의 장종(莊宗)은 후량(後梁)과의 전쟁에서 중요한 윈저우(鄆州)를 점령하고 양부에게 공동 공격을 제안했다. 그러나 오는 후당을 위협으로 여겨 쉬원은 함대를 보내 어느 쪽이든 지원하는 것을 고려했다. 옌커추는 후량이 지원을 요청하면 명분이 없다고 지적했고, 쉬원은 함대를 보내지 않았다.[9]
  • 925년, 오의 남동쪽 이웃 오월의 왕 전류는 오에 사신을 보냈지만, 오는 우월이 "우"라는 이름을 포함한 칭호를 받아들였다는 이유로 사신 접견을 거부하고 외교 및 무역 관계를 단절했다.[11]
  • 926년, 장종은 반란으로 사망하고 이사원이 명종(明宗)으로 즉위했다. 양보는 친선 관계를 위해 사신을 보냈다.[12]
  • 933년, 후당의 오월 사절 장문보(張文寶)가 난파되어 오나라 영토에 표류했다. 양부는 장문보 일행을 잘 대우하고 선물을 주었지만, 장문보는 정직함을 보이며 음식만 받았다.[15]

4. 1. 양씨 몰살 사건

십국춘추』 권3에 따르면, 남당 건국 후, 의 종족들은 태주에 설치된 "영녕궁"에 연금되었다.[1]

엄중한 경비로 인해 연금된 양씨 종족들은 혼인조차 제대로 할 수 없어, 종족 내 남녀끼리 서로 위로했다고 한다.[1]

후주의 세종(시영)이 회남으로 원정하여, 양씨 일족을 초청하려 하자, 남당의 2대 황제 원종(이경)은 원원사 윤정범을 보내 양씨 일족을 경구로 맞이하려 했다.[1]

그러나 윤정범이 독단적으로 양보의 동생 2명을 포함한 남자 60명 이상을 살해하고, 여자들만 데리고 돌아왔다.[1] 그 소행에 이경은 격노하여 윤정범은 요참되었다.[1] 이렇게 하여 양씨는 멸망했다.[1]

참조

[1] 서적 New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https://zh.wikisourc[...]
[2]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3] 웹사이트 Chinese-Western Calendar Converter http://sinocal.sinic[...]
[4] 서적 Bo Yang Edition of the Zizhi Tongjian 938
[5]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6]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7] 서적 Spring and Autumn Annals of the Ten Kingdoms https://archive.org/[...]
[8]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9]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10]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11]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12] 서적 Spring and Autumn Annals of the Ten Kingdoms https://archive.org/[...]
[13]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14]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15]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16]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17]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